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
- 데이터 학습 처리에 필요한 맞춤법 검색하기
띄어쓰기
기본적인 대원칙 - 단어는 띄어쓴다
조사 - 혼자서 쓰이지않고 앞말과 붙여쓴다
알아두면 좋은 띄어쓰기 팁
용언의 받침에 ㄴ이나 ㄹ이 있다면 뒷말이 무엇이 됐든 띄어쓰기 하면 된다
조사와 의존명사의 차이
것 의존명사 공것 그것 날것 들것 이것저것
거는 것의 입말 - 내거야 띄어쓰기 다 해야함
수 나위 분 것 만큼 대로 따름
등은 무조건 띄어쓰기
따름 따위도 띄어쓰기
뻔했다 붙여서 한단어로 쓰기
수는 항상 띄어쓰기
ㄹ수록은 하나의 어미라서 의존명사가 아니라 붙여쓴다
양 , 시 항상 띄어쓰기
즈음 띄어쓰기
쯤은 접사라서 붙여쓰기
ㅐ 와 ㅔ의 띄어쓰기
체력할때 ㅔ를 생각해라 이럴땐 붙여쓰기
채는 띄어쓰기
터는 무조건 띄어쓰기
터다 테다 모두 띄어쓰기
듯하다 붙여쓰기
그럴듯하다 붙여쓰기
간 띄어쓰기
기간 장소 붙여쓰고
거리 대상 관계는띄어쓰기
이틀간 외양간 붙여서
부조자식 간 관계 띄어쓰기
망정은 ㄹ수록 붙여쓰기
지 시간의 경과만 띄어쓰고 붙여쓰기
형 씨 모 놈 띄어쓰기
가 님 군 양 분 붙여쓰기
뿐 어미에 ㄹ받침이면 띄어쓰고 나머지 붙여쓰기
~~다 뿐이지도 ㄹ받침이 있지만 붙여쓰기
대로 는 그런대로 되는대로제외 모두 띄어쓰기
만큼도 띄어쓰기
만치 만큼 같은 뜻이라서 같은규칙 적용
같은 띄어쓰기
이나마 띄어쓰기
이야말로 띄어쓰기
걸 것의 준말
걸이 중간자리에 오면 띄어쓰고 끝에오면 붙여쓰기
걸을을 넣어봐도 구분이 쉽게된다
로서 사람 로써 수단
맞히다 / 맞추다
문제에대한 답을 틀리지 않고 적중시키다 : 맞히다
쫓다 행동적인 의미
좇다
데 - 내가 직접 격은거
대 - 남한테 들은거
왠은 왠지 하나만 존재
나머지는 웬으로 쓴다
과거에 일어난일 던지
둘중 하나 선택할때는 든지
뵈요 - 뵈어요의 준말
담갔다 - 담그다의 활용